
다음으로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
국가암등록통계 발표, ‘12년 인구 10만 명당 319명 발병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 원장 이강현)이 23일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 결과에 따르면, 2012년에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르면, 남녀를 합해 2012년에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다음으로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등의 순이었고, 여성은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등의 순이었다.
또한 2012년 신규 암환자 수는 22만 4,177명(남 11만2,385명, 여 11만1,792명)으로 2011년 암환자 수 대비 1.8%, 2002년 암환자 수 대비 91.5% 증가했다.
2012년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10만 명당 319.5명(남 337.2명, 여 321.3명)으로 전년 대비 처음으로 감소했다.
남녀 전체 주요 암의 연평균 증가율 순위는 갑상선암(22.6%), 전립선암(12.7%), 유방암(5.8%), 대장암(5.2%) 순이었으며, 간암(-1.9%)은 199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08~2012) 발생한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은 68.1%로, 2001~2005년 생존율 53.8% 대비 14.3%p 향상되었다.
암종별 ‘08-’12년 생존율(‘01-’05년 대비)은 위암 71.5%(13.8%p), 폐암 21.9%(5.7%p) 및 유방암 91.3%(2.8%p) 등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의 암환자로 2013년 1월 1일 생존한 것으로 확인된 암경험자(치료 중 또는 치료 후 생존자) 수는 123만 4,879명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암환자의 사회경제·환경 정보과 더불어 유전체, 종양은행 등의 생물학적 정보를 연계하는 암 빅데이터 정보 플랫폼을 구축해 암 발생 조사, 감시, 연구 지원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암경험자와 그 가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말기암환자 호스피스 완화의료 수가 도입, 가정호스피스 제도 신설 등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