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4 (일)
한의학이 상한론, 온병 등 한의학적 배경을 활용해 북한의 코로나19 대응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언됐다.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이하 지원본부)와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은 지난 26일 북한의 코로나19 발표 이후 보건의료 분야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북한 코로나19 확진, 46일에 대한 이해-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을 할 것인가’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서울시 중구 소재 스카이파크 킹스타운 호텔 및 유튜브에서 동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김정은 정권의 보건의료 정책 및 방향 변화, 확진자 발표 이후의 위생방역, 치료, 의약품 공급 등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황상익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은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과 김정은 정권의 보건의료 정책방향(엄주현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사무처장) △확진자 공개 이후 북한 코로나19 대응 현황(유원섭 국립중앙의료원 중앙감염병원 운영센터장) △북한 코로나19 감염증 치료안내서 리뷰(김진용 인천의료원 감염내과장) △북한 코로나19 감염증 검진검병 및 위생방역체계 리뷰(최성우 조선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등의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엄주현 사무처장은 “남북 교류협력을 재개하기 위해 북한의 인식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에 기반해 잘못된 인식을 설득하고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며 남북 교류협력의 현실 인식, 경제성장을 통한 보건의료체계 전반의 개선 선행, 김정은 정권의 대외정책에 대한 이해, 김정은 정권 이후의 보건의료 사업 등을 주문했다.
유원섭 처장은 북한의 감염병 대응 조직 및 경험, 북한의 코로나19 유행 대응 현황 등을 소개하며, “국제기구나 민간단체를 통한 백신 제공, 백신 냉장보관, 의약품, 의료기기, 보호구, 식량 등 인도적 지원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하는 한편 “향후 남북 협력을 통한 정상회담을 통해 신종감염병 등 감염병 공동대응 체계 구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북한의 코로나19 감염증 치료안내서를 리뷰한 김진용 과장은 “확진 기준에 ‘신속항원검사’ 없이 ‘유전자증폭검사(PCR)’만 사용하고 있어 하루에 진단할 수 있는 역량이 의심스럽다”며 “또한 경증 및 중등증 수준의 환자의 증상 치료를 위해 민간요법이나 고려의학을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최성우 교수는 봉쇄와 격페(격폐), 전주민집중검병검진사업, 자택격리지침 등 북한의 코로나19 감염증 검진검병 및 위생방역체계를 리뷰한 뒤 예상되는 문제로 일반 환자의 진료 공백, 코로나19의 장기화, 결핵 등 다른 감염병의 증가 가능성 등을 꼽았다.
◇한·중·일 3개국, 코로나19 대응 위해 전통의학 활용
발표 이후에는 △어린이용 치료안내지도서의 대응과 특징(박일성 신도시이진병원장) △의약품 공급 현황과 백신 및 치료제 대응 방안(이동근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사무국장) △한약 및 민간요법 대응의 유효성(김지만 대한한의사협회 정책자문위원) 등을 주제로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박일성 원장은 북한의 소아 사망 현황을 제시하고, 해외 가이드라인과 비교해 소아용 치료안내지도서의 장단점 등을 분석했으며, 이동근 국장은 기술공개의 인센티브로 독점권을 부여하는 ‘의약품 특허제도’를 소개하고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의 접근성에 대한 한계를 설명했다.
특히 김지만 위원은 감염증 치료에 대한 한의학의 이론적 배경인 상한론·온병을 소개하고, 중국·북한·일본 등에서 각각 중의학·캄포의학·고려의학 등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해온 사례를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중국 후한 시대에 성립한 문헌인 ‘상한론’은 장티푸스와 같은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호흡기나 소화기 부문의 각 증상에 따라 몸의 체액을 보존하고 면연력을 높이는 데 집중한다.
또한 열성 전염병을 의미하는 ‘온병(학)’은 청나라 때 발전한 학문으로, 열성 전염병에 감염되면 몸의 체액이 소실돼 사망률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체계적으로 입증했다. 이외에도 호흡기 관련이나 바이러스성 폐렴으로 악화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북한의 고려의학적 코로나 대응은 같은 뿌리를 지닌 한의학에서도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며 “대한한의사협회가 북한 동포들이 하루 빨리 코로나 사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발표 및 토론에 앞서 김미정 지원본부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심포지엄을 통해 북한의 코로나19 대응 현황을 살펴보고, 남북이 코로나19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협력방안을 찾아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보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공동대표는 “사람의 건강, 생명과 관련 있는 보건의료 문제는 그 어떤 정치적 입장이나 이념 갈등보다 우선하는 실존적 문제”라며 “감염병 문제는 전 인류의 문제이며 경계를 맞대고 있는 남북은 공동대응을 통한 보건의료 협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