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의 '근거중심한의약 데이터베이스' 논문 중 주목할 만한 임상논문을 소개한다.
◇KMCRIC 제목
건식 부항은 피부 표면 온도를 상승시키는 생리학적 기전으로 만성 목, 어깨 통증을 완화함.
◇서지사항
Chi LM, Lin LM, Chen CL, Wang SF, Lai HL, Peng TC. The Effectiveness of Cupping Therapy on Relieving Chronic Neck and Shoulder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6;2016:7358918. doi: 10.1155/2016/ 7358918.
◇연구설계
randomised, single blind, controlled
◇연구목적
건식 부항 (dry cupping therapy, DCT)이 피부 표면 온도 (skin surface temperature, SST)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한 만성 목, 어깨 통증에 대한 효과를 pain intensity severity score (각각 NPI, SPI)를 사용하여 확인함.
◇질환 및 연구대상
매주 최소 40시간 이상 일하면서, 일과 관련된 목, 어깨 통증이 VAS 3 이상의 강도로 최소 3개월 연속 지속된 만성 목, 어깨 통증 환자 60명
◇시험군중재
건부항 (직경 4cm, 부피 260mL) 세 개를 이용해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우측 견정수 (SI15), 견정 (GB21), 견우 (LI15)에 각각 10분 시행 후 좌측에도 동일하게 10분, 총 20분 시행
◇대조군중재
20분 동안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고 휴식 시행
◇평가지표
· 피부 표면 온도 (SST)는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실험실에서 우측 건부항 시행 직전 (baseline), 5분 후 (5min), 10분 후 (종료 직후, 10min), 15분 후 (종료 5분 후, p 5th min) 총 4차례 각각 우측 견정수 (SI15), 견정 (GB21), 견우 (LI15)의 온도를 적외선 카메라로 측정
· 혈압 (BP)은 부항 시행 전후에 우측 팔에서 측정
· Neck pain intensity (NPI), Shoulder pain intensity (SPI)는 각각 부항 시행 전후에 VAS로 측정
*p 5th min: the 5th min of rest after cupping therapy
◇주요결과
· 견정 (GB21)의 SST를 기준으로, 시험군은 30.62도 (baseline), 31.09도 (5min), 32.08도 (10min), 32.72도 (p 5th min)로, 대조군은 30.71도 (baseline), 30.57도 (5min), 30.61도 (10min), 30.60도 (p 5th min)로 변화하여 Friedman test를 통해 시험군은 군 내에서 유의한 상승을 보였고 (p=0.003), 대조군은 군 내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p=0.647). 또한 각각의 time point에서 모두 ANCOVA를 통해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
· 견정수 (SI15) 및 견우 (LI15)의 SST도 같은 양상으로 시험군 내에서만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각각 time point에서 모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임.
· BP는 수축기 혈압을 기준으로 시험군은 117.7±2.9 mmHg에서 111.8±2.3 mmHg로 유의한 감소 (p=0.003)를 보였고, 대조군은 113.8±3.0 mmHg에서 109.7±3.1 mmHg로 변화하여 역시 유의한 감소 (p=0.117)를 나타냈으며,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음.
· NPI는 시험군은 9.7±1.6에서 6.1 감소, 대조군은 9.7±1.6에서 0.2 감소하여 ANCOVA를 통해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01), SPI는 시험군은 8.5±0.9에서 5.9 감소, 대조군은 8.5±0.9에서 0.6 감소하여 역시 ANCOVA를 통해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 (p<0.001).
◇저자결론
만성 목, 어깨 통증 환자들에게 건부항을 시행한 결과 피부 표면 온도의 상승과 통증 강도의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혈압은 시험군, 대조군 모두에서 감소를 보여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다는 것이 확인됨. 건부항은 피부 표면 온도를 상승시키고 혈압을 강하시키는 생리학적인 기전으로 만성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유효하고 안전한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음.
◇KMCRIC 비평
만성 목, 어깨 통증은 16~78% 유병률을 나타내며 [1-3], 만성 통증은 사회 활동과 생활 전반, 감정적, 정서적인 부분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건부항은 이러한 만성 통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체계적 고찰과 메타 분석을 통해 이미 확인된 바 있으며 [5], 음압을 통해 모세혈관 파열 및 혈관 확장을 유도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킴으로써 체내의 노폐물과 독소를 제거하고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그 원리가 설명되고 있습니다 [6].
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 부항이 국소 피부 온도를 상승시키며 [7,8], 혈압을 강하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나 [9] 이러한 생리학적인 기전이 부항의 통증 경감 효과와 연관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아직까지 그 연관성을 동시에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는 만성 목, 어깨 통증 환자들에게 건부항을 시행하여 피부 표면 온도의 상승과 혈압의 강하, 통증 강도의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건부항이 이러한 생리학적인 기전으로 만성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유효한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부항의 체표 온도에 대한 효과를 기존의 연구들이 같은 환자 내에서 부항 시술 부위와 시술하지 않은 부위의 온도차를 비교하거나 [8], 혹은 주관적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온도차 감각을 비교한 것과 비교하여 [9], 이 연구에서는 대조군을 두고 같은 부위 온도차를 비교하였으며, ANCOVA를 사용해서 baseline 보정을 시행하여 연구의 질을 높였습니다.
다만, 이 연구에서 아쉬운 점은 부항의 시술 특성상 placebo control 및 patient blinding이 되지 않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는 것과 부항 시술이 일회성에 그쳐 반복적 치료의 영향이나 효과의 지속성을 논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들 수 있겠습니다. 향후 long-term effect를 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문헌
[1] Broadhurst NA, Barton CA, Yelland LA, Martin DK, Beilby JJ. Managing shoulder pain in general practice. Aust Fam Physician. 2006 Sep;35(9):751-2.
https://www.ncbi.nlm.nih.gov/pubmed/?term=16969452
[2] Schell E, Theorell T, Hasson D, Arnetz B, Saraste H. Impact of a web-based stress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program on neck-shoulder-back pain in knowledge workers? 12 month prospective controlled follow-up. J Occup Environ Med. 2008 Jun;50(6):667-76. doi: 10.1097/JOM.0b013e3181757a0c.
https://www.ncbi.nlm.nih.gov/pubmed/?term=18545094
[3] Kim KH, Kim YR, Noh SH, Kang KW, Kim JK, Yang GY, Lee BR. Use of acupuncture for pain management in an academic Korean medicine hospital: a retrospective review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cupunct Med. 2013 Jun;31(2):228-34. doi: 10.1136/acupmed-2012-010257.
https://www.ncbi.nlm.nih.gov/pubmed/?term=23449178
[4] West C, Usher K, Foster K, Stewart L. Chronic pain and the family: the experience of the partners of people living with chronic pain. J Clin Nurs. 2012 Dec;21(23-24):3352-60. doi: 10.1111/j.1365-2702.2012.04215.x.
https://www.ncbi.nlm.nih.gov/pubmed/?term=22834990
[5] Yuan QL, Guo TM, Liu L, Sun F, Zhang Y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neck pain and low 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2015 Feb 24;10(2):e0117146. doi: 10.1371/journal.pone.0117146.
https://www.ncbi.nlm.nih.gov/pubmed/?term=25710765
[6] Cao H, Han M, Li X, Dong S, Shang Y, Wang Q, Xu S, Liu J. Clinical research evidence of cupping therapy in Chin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0 Nov 16;10:70. doi: 10.1186/1472-6882-10-70.
https://www.ncbi.nlm.nih.gov/pubmed/?term=21078197
[7] Liu W, Piao SA, Meng XW, Wei L. Effects of cupping on blood flow under skin of back in healthy human. World Journal of Acupuncture - Moxibustion. 2013;23(3):50?2. doi: 10.1016/s1003-5257(13)60061-6.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003525713600616
[8] Xu PC, Cui SL, Wee DAC, Xu S, Leanga LT. Preliminary observation on effect of cupping on the skin surface temperature of patients with back pain. World Journal of Acupuncture - Moxibustion. 2014;24(4):59?61. doi: 10.1016/s1003-5257(15)60030-7.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003525715600307
[9] Al-Rubaye KQA.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skin changes after the cupping therapy (Al-Hijamah). Journal of the Turkish Academy of Dermatology. 2012;6(1):1261a1. doi: 10.6003/jtad.1261a1.
http://www.jtad.org/2012/1/jtad1261a1.pdf
◇KMCRIC 링크
http://www.kmcric.com/database/ebm_result_detail?cat=RCT&access=R201603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