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8 (화)
2세부터 12세 사이 소아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성장통은 반복적인 다리의 간헐적인 통증을 특징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무릎 및 종아리 부위의 통증 외에도 발목이나 골반, 어깨에도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아픈 부위가 빨갛게 붓거나 눌러서 아픈 증상이 없고 통증이 있어도 정상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며, 통증은 주로 쉴 때 아픈 특징이 있고 자기 전이나 피로시, 과도한 활동 후 가중된다. 대개 1∼2년 안에 자연스럽게 좋아지지만 성장통으로 아파하는 아이를 보는 부모를 불안하게 한다.
성장통이 학계에 처음 보고된 지 200년 가량 지났지만 아직도 정확한 원인은 불명확하다. 일반적으로 뼈와 신경, 이를 둘러싸는 건이 빠르게 성장하는데 반해 근육의 성장은 상대적으로 느려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성장통 시기가 성장 급진기와 일치하지 않고 성장통 부위와 성장이 일어나는 부위도 일치하지 않으며 성장통이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성장이 성장통의 유일한 병인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해부학적 이상, 심리적 요인, 피로, 낮은 통증 역치, 골밀도 감소, 비타민D 부족 등도 관련이 있으며, 원인이 불명확한 만큼 특효를 보이는 치료법은 없고 근육 스트레칭, 마사지, 심리행동치료, 국소 열찜질, 적당한 휴식, 칼슘이나 비타민D가 풍부한 음식 또는 보충제가 증상의 완화에 도움이 되며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 복용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 이선행 교수(경희대병원 한방소아청소년과·사진)는 “한의학에서는 근육과 뼈의 경련과 통증으로 발생하는 시리고 마비된 느낌, 무겁고 붙어 있는 듯한 느낌을 의미하는 ‘비증’(痺證)의 개념으로 성장통을 치료한다”며 “비증의 기본 병리는 경락이 막혀 기혈순환에 장애가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순환시킬 수 있는 피부와 근육의 중요한 반응 경로인 경락을 소통시키는 방향으로 치료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부모들이 주의해야 하는 것은 성장통이 아닐 경우들을 구분해 자녀가 적합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교수는 성장통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로는 △간헐적 통증 △양측성 통증(주로 양쪽 다리) △대퇴부 전면, 종아리, 슬부 후면 근육 부위 통증 △관절 가동범위 정상 △외견상 정상 등인 반면 성장통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경우로는 △지속적 통증 △일측성 통증(주로 한쪽 다리) △관절 부위 통증 △관절 가동범위 감소 △부종, 홍반, 압통, 쇠약감 등으로 제시했다.
이 교수는 “성장통이 아닐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염좌 골절 등 외상성 질환이나 소아류마티스관절염을 의심해봐야 한다”며 “이 경우에는 반드시 류마티스내과 혹은 정형외과 등의 전문의에게 신속한 진료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경희대한방병원 소아청소년과는 생기능검사실에 의뢰해 자율신경의 균형과 스트레스를 체크하는 ‘수양명경락기능검사’, 혈관 건강을 확인하는 ‘맥전도검사’, 장부와 경락기능을 확인하는 ‘양도락검사’를 진행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의사에게 의뢰해 X-ray검사를 진행하고 관절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면서 경희대병원과 협진 진료를 실시한다.
또한 소아 성장통은 환아의 상태에 따라 한약을 다르게 적용해 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한 예로 아이가 간과 신장이 약한 경우에는 근육과 뼈를 영양하지 못해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성장통 이외에도 다리에 힘이 없고 잘 때 땀이 많은 특징이 있다. 이같은 경우 육미지황탕, 신기환 등의 한약을 사용해 간과 신장을 보충해준다.
또한 냉기로 인해 경락의 기혈 운행이 잘 되지 않아도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성장통 이외에 다리에 냉감이 돌고 추울 때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을 보이게 되며, 이 경우에는 당귀사역탕, 계지탕 등을 활용해 냉기를 흩고 경락을 잘 통하게 한다.
이외에 습기와 열이 많아져도 경락이 통하지 않아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성장통 이외에도 다리가 무겁다는 말을 자주 하며 산만한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이묘환, 사묘환 등을 사용해 습기와 열을 제거하고 경락을 잘 통하게 한다.
이밖에 이선행 교수는 “성장통이 있는 아이는 무릎 주위 마사지 이외에도 경락의 기혈을 잘 통하게 하는 ‘사독혈’(四瀆穴)을 자주 문질러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사독혈은 아래팔 바깥면의 중간쯤에 위치해 있으며 성장통에 경험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