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7 (수)

  • 흐림속초19.1℃
  • 비19.6℃
  • 흐림철원19.7℃
  • 흐림동두천19.4℃
  • 구름많음파주19.6℃
  • 흐림대관령17.0℃
  • 흐림춘천19.5℃
  • 흐림백령도21.1℃
  • 비북강릉19.5℃
  • 흐림강릉20.4℃
  • 흐림동해20.7℃
  • 비서울20.9℃
  • 비인천20.0℃
  • 구름많음원주20.6℃
  • 흐림울릉도20.4℃
  • 비수원21.0℃
  • 흐림영월19.8℃
  • 흐림충주21.2℃
  • 구름많음서산21.7℃
  • 흐림울진20.9℃
  • 흐림청주22.6℃
  • 비대전21.2℃
  • 흐림추풍령20.2℃
  • 흐림안동20.3℃
  • 흐림상주21.0℃
  • 흐림포항22.5℃
  • 흐림군산22.3℃
  • 박무대구22.4℃
  • 흐림전주22.0℃
  • 구름조금울산23.8℃
  • 구름많음창원23.8℃
  • 흐림광주22.0℃
  • 구름많음부산24.8℃
  • 구름조금통영25.8℃
  • 흐림목포23.3℃
  • 구름많음여수24.4℃
  • 흐림흑산도22.8℃
  • 구름많음완도24.7℃
  • 구름많음고창21.6℃
  • 구름많음순천21.8℃
  • 흐림홍성(예)21.8℃
  • 구름많음22.0℃
  • 구름조금제주26.1℃
  • 구름많음고산23.9℃
  • 구름많음성산25.7℃
  • 구름조금서귀포25.5℃
  • 구름많음진주23.0℃
  • 흐림강화20.1℃
  • 구름많음양평20.1℃
  • 흐림이천20.5℃
  • 흐림인제19.0℃
  • 흐림홍천18.9℃
  • 흐림태백17.8℃
  • 흐림정선군19.4℃
  • 흐림제천19.4℃
  • 흐림보은20.3℃
  • 구름많음천안21.4℃
  • 흐림보령22.1℃
  • 흐림부여22.6℃
  • 흐림금산21.1℃
  • 흐림22.0℃
  • 구름많음부안22.9℃
  • 구름많음임실21.4℃
  • 구름많음정읍22.3℃
  • 구름많음남원22.7℃
  • 흐림장수20.3℃
  • 구름많음고창군22.6℃
  • 구름많음영광군22.7℃
  • 구름많음김해시24.1℃
  • 구름많음순창군22.2℃
  • 구름많음북창원24.7℃
  • 구름많음양산시25.4℃
  • 구름많음보성군24.7℃
  • 구름많음강진군24.5℃
  • 구름많음장흥24.1℃
  • 구름많음해남23.8℃
  • 구름많음고흥24.7℃
  • 구름조금의령군25.1℃
  • 구름많음함양군23.1℃
  • 구름많음광양시25.0℃
  • 구름많음진도군24.2℃
  • 흐림봉화19.7℃
  • 흐림영주19.6℃
  • 흐림문경20.1℃
  • 흐림청송군20.1℃
  • 흐림영덕21.5℃
  • 흐림의성20.7℃
  • 흐림구미21.4℃
  • 흐림영천21.7℃
  • 구름많음경주시23.9℃
  • 흐림거창22.5℃
  • 구름많음합천23.5℃
  • 구름많음밀양24.2℃
  • 구름많음산청25.0℃
  • 구름많음거제25.2℃
  • 구름조금남해24.2℃
  • 구름많음24.3℃
침술이 잘못된 신화? 침 폄훼에 반박 진행 중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술,한약

침술이 잘못된 신화? 침 폄훼에 반박 진행 중

2008년 미국 비평가 해리엇 홀 “침술은 단지 플라시보 효과를 내줄 뿐”
김나희 한의사 “감정적인 오류가 뒤범벅된 글”이라며 비판

김나희한의사.jpg

 

2008년, 미국 과학평론 잡지 스켑틱에 해리엇 홀이라는 저자의 침 폄훼 글 “침술미신에 일침놓기(punctunring the acupuncture myth)” 이 실렸다. 그 이후 13년이 지난 2021년에 한국 스켑틱 25호에 번역돼 최근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해리엇 홀은 “침이 고대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건 잘못된 믿음이며, 고대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신비감으로 플라시보와 구분되지 않는다”며 “침이 어떤 병에서도 예후를 바꿀 수 없다”, “침 치료는 플라시보와 구분되지 않는다”라며 침술 폄훼를 했다.


그는 심지어 “동양에서는 오히려 침술이 쇠락해갔으며 겨우 15~20%의 중국인만이 전통중국의학을 선택한다”는 등의 잘못된 내용을 전했다.

 

GettyImages-1027009186.jpg

이에 김나희 한의사(대한모유수유한의학회 교육이사)가 침 폄훼에 관한 반론을 제기했다. 김 한의사는 “침이 고대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유물·문헌·실증적 증거가 매우 많으며, 설령 침이 오래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침 치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침의 신비감과 치료 효과는 무관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플라시보 침의 효과가 크다고 침이 사이비 치료인 것이 아니라, 플라시보 침이 플라시보 약에 비해 생리적 활성이 더 클 뿐”이라며 “플라시보 침의 효과가 크기는 하지만, 그렇더라도 모든 플라시보 침에 비해서도, 침 치료는 더 강한 진통 효과를 나타낸다”고 덧붙였다.


김나희 한의사는 반론을 언론사 뉴스톱과 한의약융합정보센터에 기고했다. 이 글은 이후 한국스켑틱에도 실릴 예정이며, 미국스켑틱과 연락해 해리엇 홀과 직접 논쟁하는 것이 좋지 않겠냐는 한국스켑틱의 제안에 따라 영문 반론을 작성해 미국스켑틱에 전달했고 현재 해리엇 홀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이번 침 폄훼 논쟁과 관련해 김 한의사는 “어떤 답변이 오더라도 재반론을 할 준비가 되어있다”며 “이 반박글이 미국스켑틱에 실리지 않더라도 Best of Korea라는 미국 사이트에 영문원고를 실을 예정이며, 논쟁이 종료되면 논문으로 정리해 투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나희 한의사의 반론 전문은 한의약융합정보센터 홈페이지 內 ‘신화와 전설 근거중심 탐구’(https://www.kmcric.com/knowledge/inlife/list_inlife?cat=18)에서 볼 수 있다.

주혜지 기자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활짝 열린 한의사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 관문

  • 주영승 교수의 한약재 감별정보 <20> 패모

  • [한의약 이슈 브리핑] 한의사의 엑스레이 골밀도 측정기 사용 합법

  • [한의약 이슈 브리핑] 대한한의사협회, 한의사 엑스레이 골밀도 측정기 소송 관련 탄원서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