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4 (일)
정부가 코로나19 및 미래 감염병 대유행 예방·대응을 위한 국제공조방안을 논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기일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 제2차관은 20일~21일간 G20 보건 장관회의와 재무·보건·합동 장관회의에 참석해 국제 보건 회복력 구축을 위한 국제공조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올해 G20 의장국인 인도네시아 주최로 대면화상 혼합방식으로 개최됐으며, G20 회원국 및 초청국의 보건장관과 재무장관 및 세계보건기구 등이 참석했다.
지난 20일 개최된 보건 장관회의서 참석자들은 △감염병 대유행 예방·대응을 위한 국제 보건 회복력 구축 △국경 관련 지침의 조화 △중·저소득 국가에 대한 백신 등 의료자원의 국제 생산기지 및 연구 중심지 확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기일 제2차관은 코로나19를 포함한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제 보건 회복력 구축을 위한 연대와 협력 강화를 목표로 G20 주도의 협력구조(거버넌스) 마련의 필요성과 유전자 정보의 적시 공유의 중요성, 중·저소득 국가의 의료자원 생산역량 강화 및 지식공유의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특히 코로나19 발생 초기 국제 인플루엔자정보공유기구를 통해 국가 간 유전자 정보를 공유해 새로운 변이 발견과 백신 개발을 촉진한 경험을 바탕으로 해당 기구의 개방성과 접근성을 강화하여 더 많은 국가들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했으며 지식공유와 관련, 올해 10월 개최 예정인 ‘세계 바이오 서밋’을 통해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지식공유의 장을 마련할 예정임을 밝히며, G20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또한 이번 회의에서는 결핵 대응과 원헬스(One-Health) 접근법 및 항생제 내성 대응을 위한 국제적인 공조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으며, 이기일 제2차관은 한국의 범부처 공동대응체계 등을 소개했다.
21일 개최된 재무·보건합동회의에서는 감염병 대유행 예방·대응을 위한 금융중개기금 마련 및 재무·보건 분야의 조화를 위한 조정기구 설립에 대해 논의했다.
G20 회원국은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심화·발전시켜 국제보건체계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향후 보건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대응 전략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마련해나갈 예정이다.
이와 관련 이기일 제2차관은 “코로나19를 비롯한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글로벌 보건 회복력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앞으로 진행될 논의에 한국 역시 적극적으로 참여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소임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한편 올해 보건장관회의와 재무·보건 합동장관회의는 두 차례 개최되며 2차 회의는 각각 10월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