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6 (일)
안덕균 자생생명공학연구소장 보기 효력 뛰어나 장기 다량복용해도 부작용 없어 인삼 대용으로서의 만삼이 보기(補氣)약으로 효력이 뛰어나고 오래 그리고 다량 복용해도 아무런 부작용 없이 효력만 증대되는 약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임상가에서는 거의 활용치 않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해 여기에 소개한다. 만삼을 중국에서는 당삼이라고 부른다. 때문에 우리식으로는 아무리 찾아도 알 수가 없다. 이명으로는 상당인삼, 상당삼, 방풍만삼, 방(防)만삼, 황삼(黃參), 사(獅)두삼, 중령초(中靈草)를 비롯해 당삼 등으로 불리워지기는 해도 대개는 ...
자생생명공학연구소 안덕균 소장 총명탕·주자독서환·귀비탕 등과 가미해 사용 한방 임상에서 당귀만큼 많이 애용하는 약도 드물 것이다. 그런데 이 당귀가 본초학 연구자들은 다 아는 사실이지만 중국 것이 다르고 우리 것이 다르며 일본 것이 서로 달라서 명칭은 하나지만 실제로 제 각각 쓰고 있는 실정이다. 대단히 모순되고 아이러니컬한 사실이지만 이렇게 서로 상이한 약재를 오늘도 환자 치료용으로 상용하고 있다. 여기서는 그 상이한 당귀의 효능을 가리자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고산지방에서만 자생하고 또 많이 재배...
배구선수들의 축제 중 중요한 대회는 올림픽, 아시안게임,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와 유니버시아드 대회라고 할 수 있다. 세계 청소년선수권 대회 참가는 한국으로서는 2004년 아시아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함으로서 10년 만에 출전권을 획득하여 참가하게 된 큰 행사 중 하나로 많은 배구인들의 관심 속에 청소년 대표팀은 참가하게 되었다. 8월3일부터 16일까지 약 2주간에 걸쳐 진행되며 이번 대회는 총 12개국 대륙별 대표팀이 참가해 A와 B, 2개조로 나누어 각 조 최하위 2개 팀은 탈락되고 각 조 1?2위팀은 결선 진출, 3?...
지난 5월17일부터 19일까지 북경 중의연구원에서 WHO 주관 전통의학 정보표준화 국제회의가 열린 바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배경 등은 전호에 동국대학교 한창호 교수가 기고한 바 있다. 필자는 회의내용 중 MeSH 관련부분과 문헌정보의 중요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대구한의대 권영규 교수 CJK는 알파벳 순서에 따라 중국,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를 약칭하는 표기로 이번 회의에서 한·중·일이 중심이 되어 서양의학에서 다루지 않는 전통의학에 대한 MeSH를 만들자는 의도로 CJK-MeSH로 명명하였다. CJK-...
대구한의대 권영규 교수 MeSH(메쉬: Medical Subject Headings)는 ‘통제된(controlled)’ 언어이고 ‘계층화’된 언어를 의미한다. MeSH는 미국 국립의학도서관(NLM)에서 책, 논문 등을 분류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계층화된 통제 의학용어 분류집이다. MeSH란 MeSH는 현재 세계 수많은 기관에서 의료정보와 논문, 책, 자료색인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22,000여개의 주제어와 120,000개의 Supplementary Concept Record를 포함하고 있으며 약 250,000...
이란 배구 관계자들 치료효과에 입 못 다물어 침·테이핑요법 활용…강의 제안 받기도 한의학 우수성 세계에 알리는 역할 ‘톡톡’ 지난 4월말 한 장의 팩스가 한의원으로 날라 왔다. 이란 배구협회장인 Mr. Yazdani Khorram씨가 6월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열리는 2006년도 세계 선수권 대회 예선전의 팀닥터를 맡아 달라는 내용이었다. 이란 체육회의 지정 한의원이기도 하면서 작년 이란 배구팀 닥터로 올림픽 예선전에 참가한 적이 있었던 연고인 것 같아서 한의원의 다른 staff와 논의하여 제의를 수락했다. ...
Wiseman은 표준용어의 영역화에 있어 전통의학이 융성한 나라의 역사,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전통의학의 용어를 보존하며, 서방세계의 독자들에게 전통의학의 진면목을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Sourece-oriented 와 literal translation을 원칙적으로 고수하여야 하고, 가차나 definition based translation, target- oriented translation 및 병음을 사용한 translation은 최소한으로 하여 가급적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하였다. 발표에 이은 토론에서...
경원대학교 송호섭 교수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각 국의 전통의학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오랜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전통의학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한·중·일을 중심으로 전통의학의 표준화를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전통의학 관련 국제 표준용어를 재정하는 것이 모든 표준화의 출발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필자를 포함한 네 명의 한국 대표는 어깨에 드리워진 무게를 느끼며 다소 무거운 마음으로 6월 26일 인천 공항을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