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28 (목)
감정에 대한 인식은 몸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이같은 생리적 피드백은 정서 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감정은 정서적 자극에 대한 생리적 반응의 주관적 경험으로 이해된다.
이런 가운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채윤병 교수팀은 두려움과 관련된 몸의 내부수용감각(interoception)의 상태를 높인 경우 두려움 관련 정서 반응이 크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뇌영상 장비 안에서 신체감각 상상 측정(bodily imagery task)을 통해 특정 감정(두려움 혹은 역겨움)과 관련된 몸의 감각을 느끼도록 했다. 즉 두려움 혹은 역겨움 관련 몸의 감각 상태에서 다양한 수준의 두려움 혹은 역겨움을 표현하는 얼굴을 보여주며, 두려움 혹은 역겨움 관련 얼굴을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를 진행한 것.
연구 결과 정신물리학적 분석에서는 두려움과 관련된 신체 감각을 느끼도록 한 경우, 동일한 정도의 얼굴에 대해 두려움으로 판단하는 편견이 발생했다.
특히 뇌영상 분석을 통해 두려움 관련된 신체 감각을 느끼도록 한 경우 ‘전두-뇌섬-측두 네트워크’(fronto-insular-temporal network)의 활성이 증가한 사실을 발견하는 한편 특정 감정과 관련된 신체상태 변화에 따라 전측 대상회 및 선조외체영역(extrastriate body area)과 전두-뇌섬-측두 네트워크의 기능적 연결성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관련 채윤병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특정 정서와 관련된 신체 감각의 패턴은 정서 관련 내부 장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 정서 관련 정보 처리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며 “이는 신체감각 변화 유도를 통해 정서 처리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향후 침 치료 혹은 명상 등을 통해 몸의 감각 변화가 정서 조절에 영향을 주는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분자 뇌’(Molecular Brain: Impact factor 4.686) 최근호에 ‘Enhanced bodily states of fear facilitates bias perception of fearful faces’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